웹 개발은 Cursor와 Figma나 브라우저 같은 외부 도구 사이에서 빠른 반복과 촘촘한 피드백 루프가 중요해. Cursor에서는 이 루프를 더 단단하게 만드는 워크플로를 정리해왔어. 작업 범위를 명확히 하고, 컴포넌트를 재사용하고,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면 속도와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돼.이 가이드는 웹 개발을 지원하고 피드백 루프를 더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Cursor를 설정하는 방법을 다뤄.
Chat은 초기 변경 작업을 시작하는 데 최고야. 주요 구성 요소가 자리 잡으면 Inline Edit이랑 Tab으로 전환해서 플로우를 끊지 마.Cursor를 설정하면 서로 다른 도구 전반에서 워크플로를 오케스트레이션할 수 있어. 아래는 가능한 작업의 데모야: Linear, Figma, 그리고 브라우저 도구를 결합해 만든 스네이크 게임. 실제 프로젝트는 보통 더 복잡하지만, 이 예시는 이런 통합 워크플로의 잠재력을 잘 보여줘.
이미 갖고 있는 코드나 디자인 시스템, 재사용하고 싶은 규칙들이 있을 거야. 모델이랑 작업할 땐 드롭다운 메뉴나 공통 컴포넌트처럼 코드베이스에 이미 있는 패턴을 참고하는 게 좋아.우리가 대규모 웹 기반 코드베이스로 작업해 보면서, 선언적 코드가 특히 잘 먹힌다는 걸 확인했어. 특히 React와 JSX에서 더 그래.디자인 시스템이 있다면, 그에 대한 규칙을 제공해서 에이전트가 알아차릴 수 있게 도울 수 있어. 가능한 경우 컴포넌트 재사용을 강제하려는 ui-components.mdc 파일 예시는 다음과 같아:
components.mdc
Copy
Ask AI
---description: Implementing designs and building UI---- reuse existing UI components from `/src/components/ui`. these are the primitives we can build with- create new components by orchestrating ui components if you can't find any existing that solves the problem- ask the human how they want to proceed when there are missing components and designs
컴포넌트 라이브러리가 커질수록 거기에 맞춰 새로운 규칙을 추가해 줘. 규칙이 너무 많아지면, “사용자 입력을 다룰 때만 적용”처럼 더 구체적인 카테고리로 나누는 걸 고려해 봐.
Cursor의 기능을 확장하려면 콘솔 로그와 네트워크 요청에 접근할 수 있는 Browser Tools MCP 서버를 설정하면 돼. 설정이 끝나면 콘솔 출력과 네트워크 활동을 모니터링해서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어. 이 구성은 구현이 의도와 일치하는지 검증하는 데 도움이 돼. MCP 서버 설정 방법은 여기 안내를 따라줘: https://browsertools.agentdesk.ai/installation